
백과 |
영역 |
학습주제 |
제목 |
연계교과 |
한국사 |
선사, 청동기, 철기 시대 |
선사, 청동기 시대 |
선사 시대의 생활상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선사, 청동기, 철기 시대 |
선사, 청동기 시대 |
청동기 시대의 생활상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선사, 청동기, 철기 시대 |
고조선의 건국과 발전 |
단군신화로 본 고조선의 건국 이야기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선사, 청동기, 철기 시대 |
고조선의 건국과 발전 |
고조선의 법률과 사회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선사, 청동기, 철기 시대 |
고조선의 건국과 발전 |
고조선(위만 조선)의 발전과 멸망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선사, 청동기, 철기 시대 |
고조선 이후의 나라들 |
부여의 법과 사회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선사, 청동기, 철기 시대 |
고조선 이후의 나라들 |
연맹왕국, 부여의 지배층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선사, 청동기, 철기 시대 |
고조선 이후의 나라들 |
고조선에 뒤이어 일어난 나라들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건국신화 |
고구려의 건국 신화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건국신화 |
백제의 건국 신화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건국신화 |
신라, 가야의 건국 신화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백제의 전성기 |
한강을 중심으로 발전한 백제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백제의 전성기 |
해상무역로를 개척한 해상왕국 백제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백제의 전성기 |
고구려와 백제의 전쟁, 그리고 칠지도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고구려의 전성기 |
소수림왕의 3가지 정책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고구려의 전성기 |
광개토대왕의 정복 활동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고구려의 전성기 |
한강을 차지한 고구려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신라의 전성기 |
신라의 나라 이름과 왕 호칭 변화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신라의 전성기 |
고구려와 신라의 관계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신라의 전성기 |
이차돈의 죽음으로 불교를 받아들이는 신라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가야의 발전과 몰락 |
해상무역의 중심지, 금관가야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가야의 발전과 몰락 |
가야의 혼! 가야금이 만들어지다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가야의 발전과 몰락 |
가야의 멸망 과정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신라의 전성기 |
신라의 신분제도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신라의 전성기 |
선덕여왕의 탄생배경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신라의 전성기 |
6세기 말, 신라의 국제정세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삼국과 왜 나라의 관계 |
7세기 초, 삼국의 국제정세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삼국과 왜 나라의 관계 |
백제의 문화를 수용한 왜나라의 아스카 문화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삼국과 왜 나라의 관계 |
삼국의 문화를 수용해 발전하는 일본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수·당나라의 고구려 침략 |
수나라의 대군을 물리친 고구려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수·당나라의 고구려 침략 |
정변으로 대막리지가 된 연개소문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수·당나라의 고구려 침략 |
당나라를 물리치는 고구려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신라의 삼국통일 |
나당연합군의 목표가 된 백제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신라의 삼국통일 |
죽음을 각오한 백제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신라의 삼국통일 |
나당 연합군, 백제를 공격하다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신라의 삼국통일 |
백제, 나당 연합군에 항복하다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신라의 삼국통일 |
백제 부흥군,왜나라 vs 나당 연합군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신라의 삼국통일 |
고구려의 멸망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삼국 시대 |
신라의 삼국통일 |
통일신라 건국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남북국 시대 |
통일신라의 불교문화 |
나라를 정비한 신문왕의 정책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남북국 시대 |
통일신라의 불교문화 |
원효대사, 의상대사의 활약과 신라의 불교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남북국 시대 |
통일신라의 불교문화 |
통일신라의 불국사와 석굴암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남북국 시대 |
발해의 건국과 발전 |
발해의 건국 과정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남북국 시대 |
발해의 건국과 발전 |
발해의 건국 과정과 고구려를 계승한 증거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남북국 시대 |
발해의 건국과 발전 |
발해의 길을 통한 교역과 발전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남북국 시대 |
발해의 건국과 발전 |
정효공주의 무덤에 나타난 발해의 역사와 특징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남북국 시대 |
통일신라 사회와 해상무역 |
동아시아 해상무역의 중심지, 청해진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남북국 시대 |
통일신라 사회와 해상무역 |
사치스런 귀족들과 비참한 백성들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남북국 시대 |
통일신라 사회와 해상무역 |
장보고의 청해진 설치와 해적 소탕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남북국 시대 |
통일신라 사회와 해상무역 |
장보고의 죽음과 청해진의 몰락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남북국 시대 |
고려의 후삼국 통일 |
통일신라 말의 혼란과 호족들의 성장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남북국 시대 |
고려의 후삼국 통일 |
후고구려의 건국과 왕건의 등장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남북국 시대 |
고려의 후삼국 통일 |
고려의 건국과 발해의 멸망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남북국 시대 |
고려의 후삼국 통일 |
왕건과 견훤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남북국 시대 |
고려의 후삼국 통일 |
고려의 삼국통일이 가지는 의미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고려의 기틀을 다지다 |
왕건의 호족 견제정책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고려의 기틀을 다지다 |
사심관 제도와 기인제도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고려의 기틀을 다지다 |
백성들을 위한 왕건의 정책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고려의 기틀을 다지다 |
왕건의 북진정책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고려의 기틀을 다지다 |
고려의 큰 명절, 팔관회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고려의 기틀을 다지다 |
왕건의 훈요 10조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고려의 기틀을 다지다 |
사람이 아닌 재산, 노비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고려의 기틀을 다지다 |
노비안검법을 실시하다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고려의 기틀을 다지다 |
과거제도 실시와 불교의 타락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고려의 기틀을 다지다 |
최승로의 시무28조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고려의 기틀을 다지다 |
고려의 기틀을 다진 성종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고려의 기틀을 다지다 |
고려시대 여성의 권리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거란의 침략 |
거란(요나라)의 1차 침략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거란의 침략 |
서희의 담판으로 얻은 강동 6주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거란의 침략 |
거란(요나라)의 2차 침략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거란의 침략 |
2차 침략의 결과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거란의 침략 |
강감찬 장군의 흥화진 전투와 귀주대첩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거란의 침략 |
거란을 물리치고 성장하는 고려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고려의 전성기 |
고려의 국제무역항, 벽란도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고려의 전성기 |
아름답고 다양한 고려의 청자들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고려의 전성기 |
문벌 귀족의 탄생과 고려의 교육기관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고려의 전성기 |
유학의 의미와 향, 소, 부곡 백성들의 삶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고려의 전성기 |
백성들의 삶과 함께한 절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흔들리는 고려 |
여진 정벌上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흔들리는 고려 |
여진 정벌下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흔들리는 고려 |
이자겸의 난上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흔들리는 고려 |
이자겸의 난下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무신 정권 |
무신정변의 발생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무신 정권 |
중방의 역할 변화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무신 정권 |
망이, 망소이의 난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무신 정권 |
망이, 망소이 난의 역사적 의의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무신 정권 |
도방과 봉사 10조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여몽전쟁 |
몽골의 공격을 받은 고려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여몽전쟁 |
강화도 천도와 팔만대장경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여몽전쟁 |
개경환도와 무신정권의 붕괴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여몽전쟁 |
삼별초 항쟁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공민왕의 개혁 정치 |
원나라의 간섭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공민왕의 개혁 정치 |
공민왕의 개혁정책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공민왕의 개혁 정치 |
홍건적의 침입과 원나라의 내정간섭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공민왕의 개혁 정치 |
신돈 등용 이유와 전민변정도감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고려의 멸망 |
목화 재배와 화약의 발명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고려의 멸망 |
신흥무인세력과 신진사대부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고려의 멸망 |
정도전과 이성계의 만남과 요동정벌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고려의 멸망 |
위화도 회군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고려의 멸망 |
토지개혁 '과전법'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고려 시대 |
고려의 멸망 |
고려의 멸망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새 나라의 기틀을 다지다 |
한양 천도와 유학의 가르침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새 나라의 기틀을 다지다 |
1차 왕자의 난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새 나라의 기틀을 다지다 |
2차 왕자의 난과 함흥차사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새 나라의 기틀을 다지다 |
이방원의 정책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새 나라의 기틀을 다지다 |
조선시대 신분제도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새 나라의 기틀을 다지다 |
세종 즉위 과정과 대마도 정벌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새 나라의 기틀을 다지다 |
4군 6진의 개척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새 나라의 기틀을 다지다 |
집현전의 기능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새 나라의 기틀을 다지다 |
교육과 과학의 발전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새 나라의 기틀을 다지다 |
훈민정음 창제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계유정난과 사화 |
계유정난上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계유정난과 사화 |
계유정난下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계유정난과 사화 |
사육신의 난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계유정난과 사화 |
세조의 업적과 훈구파의 등장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계유정난과 사화 |
성종의 즉위와 사림파의 등장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계유정난과 사화 |
경국대전의 완성과 유교질서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계유정난과 사화 |
윤씨의 후궁 독살 계획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계유정난과 사화 |
폐비 윤씨의 죽음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계유정난과 사화 |
무오사화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계유정난과 사화 |
갑자사화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계유정난과 사화 |
중종반정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계유정난과 사화 |
조광조의 개혁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계유정난과 사화 |
주초위왕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계유정난과 사화 |
기묘사화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계유정난과 사화 |
임꺽정의 난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계유정난과 사화 |
문정왕후와 척신정치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7년간의 전쟁, 임진왜란 |
붕당정치의 시작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7년간의 전쟁, 임진왜란 |
통신사의 엇갈린 의견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7년간의 전쟁, 임진왜란 |
임진왜란, 일본의 침략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7년간의 전쟁, 임진왜란 |
탄금대 전투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7년간의 전쟁, 임진왜란 |
선조의 피란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7년간의 전쟁, 임진왜란 |
광해군의 분조 활동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7년간의 전쟁, 임진왜란 |
곽재우, 의병들의 활약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7년간의 전쟁, 임진왜란 |
이순신의 한산도 대첩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7년간의 전쟁, 임진왜란 |
비격진천뢰와 화약 무기들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7년간의 전쟁, 임진왜란 |
김시민 장군의 진주 대첩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7년간의 전쟁, 임진왜란 |
권율의 행주 대첩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7년간의 전쟁, 임진왜란 |
정유재란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7년간의 전쟁, 임진왜란 |
이순신의 백의종군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7년간의 전쟁, 임진왜란 |
명량 해전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7년간의 전쟁, 임진왜란 |
임진왜란이 남긴 피해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7년간의 전쟁, 임진왜란 |
선조의 공신 책봉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정묘호란과 병자호란 |
공납과 방납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정묘호란과 병자호란 |
대동법의 탄생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정묘호란과 병자호란 |
후금의 건국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정묘호란과 병자호란 |
광해군의 외교전략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정묘호란과 병자호란 |
광해군과 신하들의 대립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정묘호란과 병자호란 |
폐위되는 광해군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정묘호란과 병자호란 |
정묘호란의 발생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정묘호란과 병자호란 |
병자호란과 삼전도 굴욕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정묘호란과 병자호란 |
병자호란의 영향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정묘호란과 병자호란 |
효종의 북벌론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정묘호란과 병자호란 |
북벌의 결과 |
5학년 2학기 1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영·정조 시대의 발전 |
붕당정치의 변질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영·정조 시대의 발전 |
숙종의 환국정치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영·정조 시대의 발전 |
탕평채와 탕평책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영·정조 시대의 발전 |
영조의 개혁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영·정조 시대의 발전 |
임오화변의 원인과 결과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영·정조 시대의 발전 |
정조의 개혁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영·정조 시대의 발전 |
수원화성 건설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영·정조 시대의 발전 |
서학, 실학, 중농학파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영·정조 시대의 발전 |
중상학파, 대동여지도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영·정조 시대의 발전 |
조선 후기 농업 생활의 변화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영·정조 시대의 발전 |
조선 후기 상공업의 발달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영·정조 시대의 발전 |
조선 후기 서민 문화1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영·정조 시대의 발전 |
조선 후기 서민 문화2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영·정조 시대의 발전 |
조선 후기 여성의 삶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세도 정치와 농민의 저항 |
천주교의 등장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세도 정치와 농민의 저항 |
신유박해와 세도정치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세도 정치와 농민의 저항 |
삼정의 문란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세도 정치와 농민의 저항 |
조선 후기, 신분구조의 붕괴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세도 정치와 농민의 저항 |
홍경래의 난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세도 정치와 농민의 저항 |
진주농민봉기의 발생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세도 정치와 농민의 저항 |
동학의 탄생과 발전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쇄국할 것인가, 개화할 것인가 |
조선 후기, 조선의 국내외 정세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쇄국할 것인가, 개화할 것인가 |
흥선대원군의 개혁 정치1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쇄국할 것인가, 개화할 것인가 |
흥선대원군의 개혁 정치2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쇄국할 것인가, 개화할 것인가 |
병인박해의 원인과 결과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쇄국할 것인가, 개화할 것인가 |
병인양요의 원인과 결과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쇄국할 것인가, 개화할 것인가 |
오페르트 도굴사건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쇄국할 것인가, 개화할 것인가 |
신미양요의 과정과 결과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쇄국할 것인가, 개화할 것인가 |
서양 강대국의 성장과 통상 요구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쇄국할 것인가, 개화할 것인가 |
운요호 사건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쇄국할 것인가, 개화할 것인가 |
불평등한 강화도 조약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쇄국할 것인가, 개화할 것인가 |
고종의 개화 정책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근대 국가를 향한 몸부림 |
위정척사파와 임오군란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근대 국가를 향한 몸부림 |
임오군란의 과정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근대 국가를 향한 몸부림 |
임오군란의 결과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근대 국가를 향한 몸부림 |
갑신정변의 발생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근대 국가를 향한 몸부림 |
갑신정변의 결과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근대 국가를 향한 몸부림 |
동학의 확산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근대 국가를 향한 몸부림 |
1차 동학농민운동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근대 국가를 향한 몸부림 |
전주화약을 맺은 이유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근대 국가를 향한 몸부림 |
갑오개혁의 배경과 내용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근대 국가를 향한 몸부림 |
2차 동학농민운동 (우금치 전투)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근대 국가를 향한 몸부림 |
을미사변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근대 국가를 향한 몸부림 |
단발령과 전국의병항쟁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근대 국가를 향한 몸부림 |
아관파천의 과정과 결과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조선 시대 |
근대 국가를 향한 몸부림 |
독립협회와 대한제국의 탄생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대한제국 |
근대 문물의 수용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대한제국 |
고종의 광무개혁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대한제국 |
러일전쟁과 이토 히로부미의 등장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대한제국 |
을사조약의 체결 과정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대한제국 |
돌아온 서재필의 개혁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대한제국 |
짓밟힌 만민공동회와 독립협회의 해산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대한제국 |
헤이그 특사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대한제국 |
경술국치와 정미의병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대한제국 |
대한매일신보와 애국 계몽 운동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대한제국 |
비밀조직 신민회의 활동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일제 강점기 |
일제의 무단 통치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대한제국 |
안중군, 이토 히로부미 저격하다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일제 강점기 |
조선총독부의 토지조사사업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일제 강점기 |
3.1 운동의 배경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일제 강점기 |
3.1 운동의 과정과 결과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일제 강점기 |
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탄생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일제 강점기 |
일제의 문화통치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일제 강점기 |
산미증식계획과 무장독립투쟁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일제 강점기 |
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전투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일제 강점기 |
민족실력양성운동, 학생운동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일제 강점기 |
일제의 민족 말살 통치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일제 강점기 |
일제의 강제징용과 위안부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일제 강점기 |
무서운 일제의 식민사관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일제 강점기 |
민족문화 수호운동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일제 강점기 |
조선어학회와 우리말큰사전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광복과 분단 |
8.15 해방 이후 국내 정세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광복과 분단 |
우익과 좌익의 탄생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광복과 분단 |
미군정의 시작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광복과 분단 |
신탁통치 오보사건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광복과 분단 |
미-소 공동 위원회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광복과 분단 |
남쪽에서 사라진 좌익들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광복과 분단 |
유엔! 남한 단독정부 수립을 제안하다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광복과 분단 |
김구와 김규식, 김일성을 만나다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광복과 분단 |
제주 4.3사건의 배경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광복과 분단 |
제주 4.3사건의 과정과 결과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광복과 분단 |
여순사건, 여수에서 시작된 반란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광복과 분단 |
인민재판과 여순사건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광복과 분단 |
친일파를 처단하라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광복과 분단 |
무너져버린 반민특위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광복과 분단 |
반공국가! 대한민국!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광복과 분단 |
애치슨 라인, 한국을 울리다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광복과 분단 |
북한, 남침을 계획하다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한국전쟁 |
한국전쟁의 시작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한국전쟁 |
점령당한 서울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한국전쟁 |
학도병의 등장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한국전쟁 |
피바다가 된 낙동강 전투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한국전쟁 |
인천상륙작전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한국전쟁 |
중국군의 등장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한국전쟁 |
흥남철수의 기적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한국전쟁 |
서울을 되찾다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한국전쟁 |
전쟁이 남긴 상처 |
5학년 2학기 2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독재와 민주주의 |
자유당! 독재를 꿈꾸다 |
6학년 1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독재와 민주주의 |
사사오입 개헌 (1) |
6학년 1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독재와 민주주의 |
사사오입 개헌 (2) |
6학년 1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독재와 민주주의 |
진보당 사건이 발생하다! |
6학년 1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독재와 민주주의 |
부정 선거를 계획하다! |
6학년 1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독재와 민주주의 |
분노한 국민들 |
6학년 1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독재와 민주주의 |
김주열 학생의 죽음 |
6학년 1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독재와 민주주의 |
4.19 혁명이 발생하다! |
6학년 1학기 1단원
|
한국사 |
근-현대 |
독재와 민주주의 |
4.19 혁명의 결과 |
6학년 1학기 1단원
|
-
-
-
-
-
-
-
-
-
- 명화 속 그리스 로마신화
- 세계의 위대한 건축물